전체 글 17

Django ORM 기초: 개념과 예제

Django를 사용하다 보면 **ORM(Object-Relational Mapping)**이라는 개념을 자주 접하게 됩니다. ORM은 간단히 말해 객체 지향 프로그래밍의 객체와 관계형 데이터베이스의 테이블을 매핑해주는 기술입니다. 즉, 데이터베이스에 접근하기 위해 일일이 SQL 쿼리를 작성하는 대신, 파이썬 코드만으로 데이터베이스의 데이터를 조회하고 조작할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 Django에서는 이 ORM을 활용하여 개발자가 직관적이고 가독성 높은 코드로 데이터베이스 작업을 수행할 수 있으며, 데이터베이스 종류에 관계없이 동일한 코드로 동작하게 할 수 있다는 큰 장점이 있습니다. 이번 포스트에서는 Django ORM의 기초 개념과 함께 모델 정의, 마이그레이션, 주요 QuerySet API 사용법, 그..

백엔드 2025.06.20

Docker의 실무 활용 사례 및 사용법

서론: Docker란 무엇인가?Docker는 애플리케이션을 컨테이너화하여 어디서나 동일하게 실행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오픈 소스 플랫폼입니다. 개발자는 Docker를 통해 애플리케이션과 그 실행에 필요한 라이브러리, 종속성을 하나로 묶은 컨테이너 이미지를 만들고 실행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컨테이너는 운영 체제 커널을 공유하면서 애플리케이션을 격리된 환경에서 동작시키는 기술로, 기존의 가상 머신(VM)과 비교했을 때 훨씬 가볍고 효율적입니다. 실제로 Docker는 컨테이너 분야에서 약 80% 이상의 시장 점유율을 차지할 정도로 널리 사용되고 있으며, 'Docker'와 '컨테이너'라는 용어가 같은 의미로 쓰일 정도로 표준 도구가 되었습니다.가상 머신(VM) 아키텍처: VM 환경에서는 각 애플리케이션이 자체..

백엔드 2025.06.09

Django 프로젝트의 settings.py 주요 설정과 활용법

Django 프로젝트의 settings.py 파일은 프로젝트의 전반적인 설정을 정의하는 핵심 파일입니다. 처음에는 내용이 방대하고 어려워 보일 수 있지만, 알고 보면 단순히 Django 프로젝트의 다양한 설정 값을 모아놓은 파이썬 파일일 뿐입니다. 이번 포스트에서는 settings.py의 전체 구조와 주요 설정 항목들을 알아보고, 개발/배포 환경에 따라 설정을 분리 및 관리하는 방법까지 살펴보겠습니다. 이를 통해 Django 입문자가 settings.py를 자신 있게 다룰 수 있도록 돕는 것이 목표입니다.settings.py의 구조 개요Django의 기본 settings.py는 여러 섹션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먼저 프로젝트의 루트 경로를 나타내는 BASE_DIR 설정이 정의되며, 이후 보안/디버그, 애..

백엔드 2025.06.04

Gunicorn을 사용하여 Django 배포하기

Gunicorn은 파이썬 기반 WSGI(Web Server Gateway Interface) 서버로, Django 같은 웹 애플리케이션을 프로덕션 환경에서 구동할 때 많이 사용됩니다. 공식 문서에 따르면 Gunicorn은 순수 파이썬으로 작성된 UNIX용 WSGI 서버이며, 별도 의존성이 없어 pip로 간단히 설치할 수 있습니다. Django에는 테스트용 간이 개발 서버가 내장되어 있지만, 실제 서비스 환경에서는 더 안정적이고 빠른 Gunicorn 같은 웹서버가 필요합니다.Django 프로젝트를 Gunicorn으로 실행하기가장 기본적인 Gunicorn 실행 방법은 gunicorn 명령에 WSGI 모듈 경로를 전달하는 것입니다. 예를 들어, Django 프로젝트의 wsgi.py 모듈이 myproject.w..

백엔드 2025.05.30

React 입문 가이드

React란 무엇인가 – 배경과 목적React는 Facebook에서 개발한 자바스크립트 라이브러리로, 웹과 모바일 환경에서 빠르고 동적인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구축할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 2013년에 오픈소스로 공개되었으며, 컴포넌트와 가상 DOM(virtual DOM) 개념을 도입해 UI 업데이트를 효율화했습니다. 특히 React는 단일 페이지 애플리케이션(SPA) 개발을 간편하게 해 주며, 단방향 데이터 흐름과 선언적(UI 선언 방식) 설계를 통해 예측 가능하고 유지보수하기 쉬운 코드를 작성할 수 있게 합니다.컴포넌트 기반: UI를 재사용 가능한 작은 조각(컴포넌트)으로 분리합니다. 예를 들어 버튼, 입력창 같은 요소를 독립된 컴포넌트로 만들어 조합하여 전체 화면을 구성할 수 있습니다.가상 DOM: ..

프론트엔드 2025.05.23

GitHub 기초 사용법

개발자들은 버전 관리 시스템을 통해 소스코드의 변경 이력을 관리하고, 협업할 때는 온라인 플랫폼을 이용해 소스를 공유하곤 합니다. Git은 컴퓨터 로컬에서 동작하는 분산 버전 관리 시스템이고, GitHub는 Git 저장소를 인터넷에 올려서 백업하거나 다른 사람과 협업할 수 있게 해주는 서비스입니다. 이 글에서는 Git과 GitHub의 차이를 설명하고, 설치부터 로컬 저장소 생성, GitHub에 푸시, 협업을 위한 기본 워크플로우까지 차례대로 알아보겠습니다.Git과 GitHub의 차이Git: 파일과 소스코드의 변경 이력을 로컬에 저장·관리하는 버전 관리 시스템입니다. 예를 들어 코드를 수정할 때마다 *커밋(commit)*을 통해 스냅샷을 남길 수 있습니다. Git은 분산형이라 인터넷 없이도 로컬에서 브랜치..

Terraform 기초 사용법

Terraform은 클라우드 인프라를 코드로 관리하는 인프라스트럭처 코드(Infrastructure as Code, IaC) 도구입니다. AWS, Azure, GCP 같은 클라우드 뿐만 아니라 온프레미스 자원을 사람이 읽기 쉬운 설정 파일(HCL)로 정의하고, 안전하게 생성·변경·파괴할 수 있습니다. Terraform은 각 클라우드 서비스의 API와 통신하는 플러그인 제공자(Provider)를 사용합니다. 예를 들어 AWS 클라우드를 사용하려면 provider "aws" 블록을 설정해야 하며, 이 Provider가 실제 AWS 인스턴스나 네트워크 자원 등을 Terraform이 관리할 수 있도록 합니다. 이처럼 Terraform 구성 파일에 필요한 Provider를 선언해 두면, 동일한 워크플로우로 다양한..

Django REST Framework: APIView, Generic View, ViewSet 차이점과 사용 예시

Django REST Framework(DRF)에서는 API를 구축하기 위해 다양한 방식의 뷰 클래스를 제공합니다. 그 중 대표적인 것이 APIView, Generic View(제네릭 뷰), 그리고 ViewSet입니다. 각 방식은 추상화 수준과 편의성이 다르며, 상황에 따라 알맞게 선택할 수 있습니다. 이번 포스트에서는 이 세 가지 뷰 클래스의 차이점과 사용 사례를 살펴보고, 코드 예시를 통해 언제 어떤 것을 사용하면 좋을지 설명합니다.APIView – 기본 클래스 기반 뷰APIView는 DRF에서 제공하는 가장 기본적인 클래스 기반 뷰(CBV)입니다. Django의 표준 View 클래스를 상속하여 만들어졌으며, REST API 개발에 필요한 다양한 기능(인증/권한, 요청 데이터 파싱, 예외 처리 등)을..

백엔드 2025.05.20

Django와 DRF에서 Custom Middleware 사용법

Django 프로젝트에서 Middleware의 기본 구조와 동작 순서Django의 **Middleware(미들웨어)**는 요청(request)과 응답(response)의 처리 과정에 끼어들어, 전역적으로 동작하는 플러그인 계층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미들웨어들은 Django 설정의 MIDDLEWARE 리스트에 정의된 순서대로 동작하며, 각각이 양파 껍질처럼 뷰(view)를 감싸는 계층으로 생각할 수 있습니다. 요청이 들어오면 MIDDLEWARE에 나열된 순서(위에서 아래)대로 각 미들웨어가 **요청 처리(request phase)**에 참여하고, 뷰가 처리된 후에는 반대로 **응답 처리(response phase)**를 거치면서 미들웨어들이 역순(아래에서 위)으로 호출됩니다. 이러한 동작 방식 때문에, ..

백엔드 2025.05.16

Django에서 HttpResponse와 DRF Response 차이점

Django HttpResponse를 이용한 커스텀 응답 생성Django에서 **HttpResponse**는 HTTP 응답을 반환하는 가장 기본적인 클래스입니다. 모든 Django 뷰 함수/메서드는 최종적으로 HttpResponse 객체 (혹은 그 하위 클래스)를 반환해야 합니다. HttpResponse는 django.http 모듈에 포함되어 있으며, 문자열이나 바이트 데이터를 인자로 받아 응답 객체를 생성합니다. 기본 콘텐츠 타입은 "text/html"이지만 필요에 따라 content_type 매개변수로 변경할 수 있습니다. 또한 상태 코드를 지정하려면 status 매개변수를 사용합니다 (기본값 200). 개발자는 HttpResponse를 통해 응답 본문, 헤더, 쿠키 등을 직접 구성할 수 있습니다.문..

백엔드 2025.05.15